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와 기도에 점진적으로 염증과 손상이 누적되는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이 질환은 숨을 내쉴 때 공기가 잘 빠져나가지 못해 폐기능이 점차 저하된다.
COPD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활동 시 숨이 가쁘고, 평소에도 호흡이 힘들어진다. 초기 증상은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게 흔한 기침과 가래가 동반된다.
질환의 진행에 따라 계단 오르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활동에서 숨이 차다가 나중에는 평지에서 걷거나 머리를 감을 때도 숨이 가쁠 수 있다. 가만히 앉아 있을 때조차 숨이 짧아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기침은 매일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가래는 희고 끈적거려서 잘 뱉어지지 않는다.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동반되며, 감기나 감염이 올 때 증상이 갑자기 심해져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있다.
COPD 진단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하지만, 고령일수록 발병 위험이 높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을 수 있어 만성 기침, 가래 증상만 있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숨이 차지는 것을 느끼며 병원을 찾는 일이 많다.
호흡곤란은 운동이나 신체활동 이후에 특히 두드러진다.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다', '숨차다', '숨가쁘다' 등으로 호소한다. 증상이 악화될 때는 호흡기 감염 가운데에서 더욱 악화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흡연은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로, 직접 흡연뿐 아니라 간접흡연도 원인이 된다. 직업적 분진, 화학물질, 대기오염, 미세먼지, 실내 또는 요리용 연소에 의한 유해가스 노출 역시 원인에 포함된다.
사회·경제적 빈곤은 환경적으로 COPD 위험인자 노출 가능성을 높인다. 어린 시절의 호흡기 감염, 저체중 출생, 폐 성장 장애, 성별(남성이 빈도가 약간 높음), 기관지 과민성, 특정 유전자 이상(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등도 질환 발생에 관여한다.
증상의 진행은 매우 느리다. 보통 몇 년, 몇십 년에 걸쳐 서서히 폐기능이 떨어진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 중 일부는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으로 발전하는데, COPD로 진행하는 비율은 약 15~20%로 추정된다.
만성기관지염은 1년에 3개월 이상 기침, 가래 증상이 2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폐기종은 폐포벽이 파괴되고 폐의 탄력이 감소해 숨쉬기가 더 힘든 상태가 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단에는 폐활량 측정이 필수적이다. 기흉부 X선, 전산화단층촬영(CT) 등 영상학적 검사가 사용된다. 진단된 이후에는 폐기능 등급, 호흡곤란 정도, 급성 악화력을 평가해서 치료 방침이 결정된다.
치료의 최우선 단계는 금연이다. 흡연을 중단하는 것이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가장 중요하다. 금연을 하더라도 이미 손상된 폐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으나, 추가 진행을 줄일 수 있다.
실내외의 공기 오염을 피하는 것도 생활 관리에 필수적이다. 대기오염이 심할 때는 외출을 삼가고, 요리나 난방에 고체 연료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환기를 충분히 해야 한다. 작업장에서는 직업적 위험인자 노출을 최대한 피해야 하며, 예방 교육을 이수하는 것도 좋다.
치료에는 약물요법이 포함된다. 주요 약제는 흡입 기관지 확장제이며, 약을 흡입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도 내 염증을 줄이고 기도를 확장한다. 흡입제는 약효가 빠르면서도 전신 흡수에 의한 부작용이 적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는 두 종류의 흡입 기관지 확장제를 병합하거나, 스테로이드제를 병용한다. 급성 악화나 세균 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 투여가 필요하다.
호흡재활치료는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호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산소요법은 저산소증이 동반될 때 처방되며, 일부 환자에게는 계속적인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해 폐기능 검사와 증상 평가를 받아야 한다. 독감 백신, 폐렴구균 예방접종 등 감염 예방 조치 역시 치료의 일부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게 영양관리는 중요하다. 적절한 식사량을 유지하며, 한 끼에 과식을 피하고 소량씩 자주 식사하는 것이 좋다.
실제로 COPD 환자의 30~60%가 체중 감소를 경험하게 된다. 과체중이면 호흡이 더 힘들고, 저체중이면 피로와 면역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가 필요하다.
규칙적인 운동은 폐 기능을 유지하고 호흡근력을 강화한다. 걷기, 스트레칭, 저강도 근력 운동 등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신체활동을 일상에 포함하는 것이 좋다.
매일 20분 이상 걷기, 적절한 체중 유지, 충분한 수면(하루 8시간), 스트레스 감소, 알코올 제한 등도 생활 관리에 도움이 된다.
증상이 의심되거나 위험군에 속한다고 판단되는 환자는 반드시 폐기능 검사를 받아야 한다. 처방받은 약물은 정확하게 사용해야 하며, 의료진의 지침에 따라 투약 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치료와 관리가 평생 이어져야 하는 만성 질환이다. 증상이 악화될 경우 바로 병원을 찾아 원인을 진단받고 조치해야 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흡연을 시작하지 않거나 반드시 중단하고, 공기 오염이나 유해물질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예방접종을 적기에 맞고, 식생활과 운동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는 스스로 증상을 관찰하고, 감기나 호흡기 감염이 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가족 또한 환자의 생활 관리와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완치가 어렵지만, 적극적인 자기 관리와 꾸준한 의료적 지원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기 진단과 표준화된 치료,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예후를 좌우한다.
종합적으로 보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기능 저하와 호흡부전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 관리, 의료진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28
-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IMR&MENU_ID=004005
- https://www.lungkorea.org/general/disease/disease_01_a.php
- https://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09
- https://www.nhimc.or.kr/clinic/deptView.do?deptNo=86
-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7059&title=%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5BChronic+obstructive+pulmonary+disease+%28COPD%29%5D
-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00000&bid=0021&tag=&act=view&list_no=127649
- https://namu.wiki/w/%EB%A7%8C%EC%84%B1%20%ED%8F%90%EC%87%84%EC%84%B1%20%ED%8F%90%EC%A7%88%ED%99%98
-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67059&title=%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5BChronic+obstructive+pulmonary+disease+%28COPD%29%5D
- http://www.healtip.co.kr/news/articleView.html?idxno=7474
- https://www.cnuh.com/health/disease.cs;WEB_JSESSIONID=DC4D5947DE6401290DB3106302D6FB2F?act=view&infoId=517&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8
- https://www.youtube.com/watch?v=wk6WIlWPdU0
-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lifecare/nutrition/diseasediet.do?mode=view&articleNo=70478&title=%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EC%9D%98+%EC%8B%9D%EC%82%AC%EC%9A%94%EB%B2%95+Chronic+obstructive+pulmonary+disease+%28COPD%29
- https://common.health.kr/shared/healthkr/pharmreview/%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_%EC%96%91%EB%B0%A9.pdf
- https://www.msdmanuals.com/ko/home/%ED%8F%90-%EB%B0%8F-%EA%B8%B0%EB%8F%84-%EC%9E%A5%EC%95%A0/%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copd/%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copd
- https://nursingcollege.yonsei.ac.kr/health/lifecare/nutrition/diseasediet.do?mode=view&articleNo=70478&title=%EB%A7%8C%EC%84%B1%ED%8F%90%EC%87%84%EC%84%B1%ED%8F%90%EC%A7%88%ED%99%98%EC%9D%98+%EC%8B%9D%EC%82%AC%EC%9A%94%EB%B2%95+Chronic+obstructive+pulmonary+disease+%28COPD%29
- https://www.youtube.com/watch?v=PUKMQHoFAZM
- https://ddoga.co.kr/guide/G202403270001
- https://www.sunhospital.com/sub3_1.html?mode=view&bid=18298
- http://www.ilovegb.kr/programs/common/com_download.php?file_uid=6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