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 와이드 산속 에메랄드빛 호수

 대구 남쪽 끝, 달성군 가창면의 한적한 산자락 아래에는 최근 몇 년 새 뜨겁게 떠오른 명소가 있다. 바로 ‘가창 채석장 호수’라 불리는 에메랄드빛의 폐채석장 호수다. 도심과 멀지 않지만, 한적한 풍경과 이국적인 분위기 덕분에 사람들은 이곳을 ‘한국의 캐나다’, ‘비밀의 호수’라고 부른다. 과거 석재를 채취하던 산업현장이 시간이 흘러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며 만들어낸 이 장소는, 인간의 흔적과 자연의 복원이 절묘하게 공존하는 곳으로 평가받는다.

이곳의 정확한 위치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삼산리 산189-1, 또는 내비게이션에는 가창로 71-17로 검색할 수 있는 곳이다. 가창면행정복지센터에서 청도 방향으로 국도 30호선을 따라 약 10km가량 이동하면 도착한다. 범룡사 방면에서 올라가는 길 끝에 호수 입구로 향하는 공터가 나타나며, 그 근처에 차량을 세울 수 있는 비공식 주차 공간이 있다. 지방도로를 따라 이어지다 가파른 산길로 진입해야 하는데, 포장되지 않은 비포장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운전 시 주의가 필요하다.

가창 채석장은 본래 2000년대 중반까지 실제로 석재를 채굴하던 산업시설이었다. 인근의 개발용 자재를 공급하기 위해 수년간 암석 채굴이 이루어졌지만, 채석 허가가 만료되면서 약 10여 년 전 문을 닫았다. 이후 폭우와 지하수가 절벽 사이에 고이기 시작했고, 세월이 흐르면서 웅덩이는 점차 하나의 거대한 인공호수로 변모하게 됐다. 사람의 손이 멈춘 자리에서 자연이 천천히 빚어낸 풍경이었다.

현재 이 호수의 수심은 약 29m에 달하며, 절벽의 높이는 40m 안팎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칼로 자른 듯 수직으로 깎아진 회색 절벽이 병풍처럼 호수를 감싸며, 청록빛의 잔잔한 수면이 아래로 펼쳐져 있다. 햇빛이 강한 여름 오전에는 물빛이 옥색에서 에메랄드그린으로 바뀌며, 오후로 갈수록 약간 짙은 청록빛으로 변한다. 이러한 색 변화는 절벽 암석에 포함된 금속성 광물, 즉 황철석과 마그네슘, 구리 등의 성분이 빛을 굴절시키며 만들어내는 자연현상이다. 그 덕분에 물속을 보면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투명하고 신비하게 빛난다.

주변 절벽의 암석은 자줏빛과 회색, 담황색이 혼재되어 있다. 빛의 각도에 따라 얼핏 붉은 색조를 띠기도 하며, 마치 거대한 화폭에 여러 색을 겹겹이 덧칠한듯한 질감을 보여준다. 절벽은 계단식으로 파여 있어 멀리서 바라보면 거대한 원형극장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 독특한 구조와 풍경 덕분에 최근 사진작가, 드론 촬영팀, 웨딩 촬영 스튜디오 등이 사전 허가를 받아 촬영을 진행하기도 했다.

호수의 물은 깊지만 오염물질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지하수 순환 구조 덕분에 일정한 자정능력이 작용한다고 분석한다. 맑은 수질과 더불어, 호수 주변에는 덩굴식물과 잡목이 절벽 틈새에서 자라나며 자연스러운 녹음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군데군데 이끼가 낀 절벽면과 맑은 호수가 대조되어 한층 더 이국적인 풍경을 만든다.

현재 이곳은 정식 관광지로 지정되지 않은 사유지다. 따라서 안전 설비나 안내 인력은 상시 배치되어 있지 않다. 최근 방문객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철조망과 ‘출입주의’ 표지판이 설치되었다. 일부 무단 출입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이 증가하자 달성군은 부지 소유주와 협의해 안전 점검 및 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실제로 주말에는 수백 명이 몰릴 정도로 인기가 높지만, 출입 제한 구역 안으로 넘어가는 행위는 법적으로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달성군은 현재 이 폐채석장을 지역 관광자원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확한 계획에 따르면, 우선 호수 주변의 지질 안정성과 절벽 붕괴 가능성에 대한 정밀조사를 시행하고, 이후에는 부지를 매입해 안전한 관람 데크와 산책로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관계 당국은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자연경관을 유지하며 관광지로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흥미로운 점은 이곳이 단순한 폐채석장이 아니라, 인근 주민들에게는 오랫동안 존재만 알던 ‘금단의 장소’라는 점이다. 공식적 출입이 불가능했던 시절에도 몇몇 사진가와 하이커들은 비공식 루트를 통해 이곳을 찾았고, 그들이 SNS에 올린 사진들이 입소문을 타면서 현재의 ‘비밀의 호수’ 열풍으로 이어졌다. 에메랄드빛 수면과 절벽을 배경으로 한 사진은 현실감이 없을 정도로 아름다워, 대구 도심 속 숨겨진 자연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방문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아침 시간대를 추천한다.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 햇살이 절벽을 비춰 호수의 색감이 가장 선명하고, 사진 촬영에도 최적의 시간대다. 오후에는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물빛이 다소 어둡게 변하고,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다. 특히 여름철에는 물 위로 안개가 피어오르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주변엔 정식 산책로나 편의시설이 없으므로, 겉옷과 생수 등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

호수 근처에서는 새소리와 절벽 사이로 흐르는 약한 바람 소리가 전부다. 도시의 소음이 완전히 차단된 듯한 고요함이 있으며, 일부 방문객들은 명상과 힐링을 위해 짧은 체류 시간을 갖기도 한다. 절벽 아래의 반사광이 물결을 타고 주변 암벽에 부서지는 모습은 직접 보면 감탄이 나올 정도다. 마치 자연이 만들어낸 거대한 설치미술 같다.

관광객의 증가와 함께 여러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차량 진입 시 비포장 구간이 많아 먼지가 심하고, 일부 구간은 비가 오면 진흙으로 변해 통행이 어렵다. 주차 공간이 한정적이라 대형 차량은 진입이 힘들고, 인근 주민의 생활도로와 겹치는 탓에 불편을 호소하는 사례도 늘었다. 또한 호수 주변이 급경사 지형이라 미끄럼 사고 위험이 높으며, 낙석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아직은 ‘준비되지 않은 명소’라 할 수 있지만, 그만큼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 매력이다. 인위적인 조명이나 인공적인 시설 없이, 세월이 만들어낸 절벽과 푸른 물결만이 존재한다. 이런 점이 오히려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며, 도시 속 숨은 쉼터로서 입소문을 탔다.

현재 채석장 부지는 법적으로 원상복구 명령이 내려진 상태다. 즉, 원래의 산지 형태로 되돌리기 위해 호수를 메우고 흙으로 채워야 하는 절차가 행정상 남아 있다. 그러나 복구 비용이 수십억 원에 달해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며, 달성군은 지역 관광 활성화와 보존을 병행할 방법을 모색 중이다. 지질학적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향후에는 전용 전망대나 포토존이 마련될 가능성도 있다.

이곳의 주변에는 녹동서원, 달성 한일우호관 등 문화유산도 위치해 있어 연계 관광 코스로 발전할 여지도 충분하다. 가창면 일대는 예로부터 산수 경관이 수려하고 계곡물이 맑기로 유명하며, 여름에는 가창계곡, 가을에는 단풍 명소로도 손꼽힌다. 가창 채석장 호수의 등장은 이러한 자연자원들과 더불어 달성군 관광의 새 축을 형성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가창 채석장 호수는 산업과 자연, 인공과 복원의 경계를 오간 장소가 만들어낸 특별한 풍경의 결정체다. 사람의 손이 멈춘 자리에 물이 차고, 그 물 위로 세월의 빛이 내려앉으며 하나의 절경이 태어났다. 아직 공식 관광지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는 곳이기도 하다. 언젠가 안전시설과 접근성이 더해진다면, 가창 채석장은 대구를 대표하는 자연 관광지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1. https://blog.naver.com/jpp1202/223921163116
  2.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09/01/FMCNDTWRYVGVJIMZEJTPBSBERM/
  3. https://blog.naver.com/nailstan/223927508317?fromRss=true&trackingCode=rss
  4. https://www.youtube.com/shorts/QGRDwbV2380
  5. https://sane8253.tistory.com/2147
  6. https://rainbowmemories.tistory.com/entry/%EA%B0%80%EC%B0%BD-%ED%8F%90%EC%B1%84%EC%84%9D%EC%9E%A5-%EC%97%90%EB%A9%94%EB%9E%84%EB%93%9C%EB%B9%9B-%EB%AC%BC%EB%93%A0-%EC%A0%88%EA%B2%BD-%EC%9C%84%EC%B9%98-%EC%A3%BC%EC%B0%A8-%EC%A0%95%EB%B3%B4-%EC%B4%9D%EC%A0%95%EB%A6%AC
  7. https://www.youtube.com/watch?v=VB6y47aRSms
  8.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52018439
  9. https://tourkongdak.tistory.com/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