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중풍 경추척수증

 경추척수증은 목의 경추 척수가 압박을 받아 신경학적 장애와 마비 증상이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다. 이 질환은 목 부위에서 척수가 눌리면서 뇌에서 말초로 전달되는 신경 신호가 차단되어 다양한 신경 증상이 서서히 나타난다.

원인은 주로 척추뼈의 퇴행성 변화, 디스크 탈출, 후종인대 골화증, 척추관 협착증 등에서 비롯된다. 특히 중년 이후 척추의 노화로 뼈와 인대가 비후되고, 좁아진 척추관에 의해 척수가 눌리면서 증상이 시작된다.

경추척수증의 초기 증상은 손의 힘이 약해지고 움직임이 둔해지며, 세밀한 손동작이 점점 어려워지는 형태로 나타난다. 젓가락질이나 글씨 쓰기, 단추 채우기 등 정교한 손동작의 장애가 대표적이다.

이 밖에도 손바닥, 손가락 사이 근육이 위축되고, 손끝에서 감각 저하나 저림, 무딤현상이 점차 심해진다. 환자에 따라 저린 감각이 팔 전체로 퍼지거나 마비감이 진행되기도 한다.

하지 근력 약화로 인해 보행이 어색하거나 불안정해지며,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고 계단을 오를 때 균형을 잃는 경우도 많아진다. 다리 힘이 약해지고 걷는 속도가 느려지는 변화도 비교적 일찍 관찰된다.

시간이 흐르면 마비가 진행되어 손과 팔, 다리까지 증상이 퍼질 수 있다. 대소변 장애까지 동반되는 경우는 증상의 악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이다.

경추척수증은 목이나 어깨, 팔에 통증이 있을 수도 있지만, 통증 없이 운동장애와 감각이상이 주로 나타나는 특이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 목디스크나 뇌졸중(중풍)과 헷갈리기 쉽다.

경추척수증의 가장 무서운 점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장기간 서서히 진행되기에 방치하기 쉽다는 것이다. 증상이 악화되고 나면 수술해도 이전 상태로 완전히 돌아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척추관이 좁거나 선천적으로 척추 구조가 약한 사람, 또는 강한 충격을 받았던 경우에는 경추척수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작은 외상만으로도 마비가 급격히 심해질 수 있다.

진단 과정에서는 정확한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검사가 중요하다.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10초에 20회 이상 못한다면 경추척수증을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외줄타기 하듯이 발을 나란히 붙이고 걷기 어렵거나 균형 감각에 이상이 있는 경우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동작 테스트와 함께 근력, 감각, 반사 등 신경학적 세부검사를 시행한다.

영상검사는 경추척수증 진단에서 필수적이며, 단순 X-ray 검사로 척추뼈의 변형이나 관절 이상 및 추간판 간격 감소를 확인한다. X-ray로는 척추의 불안정성이나 전위, 휘어짐을 볼 수 있다.

경추 척수와 신경 누르는 원인을 정확히 확인하려면 MRI 검사가 필요하다. MRI는 척수의 눌림 위치, 압박의 정도, 주변 연부조직 상태, 디스크 돌출, 인대 비후 등 세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CT 검사로 뼈의 미세한 구조변화, 골극 형성 등을 확인하기도 한다. 목디스크와 경추척수증, 말초 신경병증 등을 감별하기 위해 근전도 검사를 병행하기도 한다.

경추척수증의 주요 감별 질환으로는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척수종양, 척수공동증, 근위축성 질환, 신경전달장애 등이 있다. 비슷한 증상 때문에 오진이 빈번하므로, 신경과나 정형외과 전문의의 면밀한 감별진단이 꼭 필요하다.

경추척수증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신경 손상 회복이 어렵고 마비가 진행된다.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는 증상이 아주 미약하거나 통증만 동반된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적용한다.

손 기능장애, 감각소실, 보행장애 등이 분명히 동반된다면 보존적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빠른 수술 치료가 권고된다. 수술의 목적은 척수가 눌리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 더 이상의 신경 손상 진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대표적인 수술법으로는 경추 전방 또는 후방 감압술, 추간판 제거술, 골극 제거술, 척추 유합술 등이 있다. 실제 수술 방법은 척수 눌림 위치, 척추 변형, 병변 범위,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정해진다.

수술 후에도 완전한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이미 신경 조직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남은 기능만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목표가 되기도 한다.

수술 후 일정 기간 재활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며, 손기능·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물리치료, 작업치료, 균형훈련 등이 병행된다. 조기 발견, 빠른 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증상이 생기면 바로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추척수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목과 어깨를 곧게 세우는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오랜 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 등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엎드리는 자세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너무 높은 베개, 장시간 엎드려 자기, 한 쪽으로만 누워자기, 갑작스러운 목 돌리기 등도 피해야 한다. 목, 어깨, 손의 작은 저림이나 감각 변화, 보행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증상을 경시하지 말아야 한다.

경추 척수에 문제가 생기면 뇌질환과 유사한 중풍 증상(사지 마비, 대소변 장애 등)이 서서히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서서히 두 손을 모두 잘 쓰지 못하게 되거나, 잘 걷지 못하게 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경추척수증은 침묵의 진행성 신경질환으로 자연치유가 불가능하다. 조기에 치료하면 남은 기능을 지키고 생활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노화와 함께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정기적인 척추 건강관리와 올바른 자세 습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단순한 어깨, 목 통증이라고 방심하지 않고 작은 신경 증상이라도 세심히 관찰하는 노력이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하다.

  1. https://www.gwhospital.co.kr/board/bbs_view.php?idx=2845&bbs=column
  2. https://old.koa.or.kr/info/index_2_2.php
  3. https://www.youtube.com/watch?v=xjoPNG4dnj4
  4. https://yuseong.sunmedical.kr/sub5_1.html?mode=view&bid=1493
  5. https://www.gnah.co.kr/spine/CMS/Contents/Contents.do?mCode=MN036
  6. https://www.youtube.com/watch?v=LAtIAZDrnOM
  7. https://www.tophospital.co.kr/health_info/health-plus.html?bmain=view&uid=27&mode=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어디로 튈지 몰라 잠실 석촌역 뼈다귀 해장국 맛집 식당

어디로 튈지 몰라 15년 동안 다닌 인생 맛집 이천 염소탕 염소 고기 식당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코요테 사당귀 능이 닭백숙 맛집 식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