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 탈출중(허리디스크)도 유전된다?

 허리디스크, 즉 의학적으로 추간판탈출증이라고 불리는 질환은 유전적인 요소와 생활습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환이다. 부모나 형제 중 허리디스크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본인에게도 발병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허리디스크는 단순히 ‘유전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으며, 유전적 성향이 병의 발생을 돕는 구조적 취약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사이에 위치한 연골성 구조물인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탈출하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디스크는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완충 역할을 하는데, 퇴행성 변화나 외부 압력에 의해 손상되면 통증이나 다리 저림 증상이 나타난다. 이 질환은 나이, 자세, 체중, 근육량, 운동 습관 등의 영향을 크게 받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유전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한다는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연구팀이 진행한 쌍둥이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대표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연구진은 115쌍의 남자 일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생활 패턴, 허리 사용 빈도, 직업적 부하 정도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허리를 많이 쓰거나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 손상이 더 심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을 뒤엎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허리를 얼마나 사용하는지와 나이의 영향을 합친 비율은 전체 요인의 11% 정도에 불과했다. 반면, 유전적인 요인이 디스크 퇴행에 미친 비중은 무려 43%에 달했다. 즉, 허리디스크 발생에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체질적 요인이 절반 가까이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일본의 한 연구팀은 디스크 손상에 관여하는 특정 유전자를 발견하기도 했다. 이 유전자는 디스크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구조 안정성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해당 유전자의 변이가 있을 경우 디스크 조직이 쉽게 손상되어 탈출이나 퇴행이 일어나기 쉬운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허리디스크가 단순히 생활습관만의 문제가 아니라, 선천적으로 정해진 신체 구조와 생리적 조건에서도 원인을 찾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유전적 요인이 허리디스크를 직접 일으키지는 않지만, ‘디스크가 상하기 쉬운 체질’을 물려받는다고 설명한다. 예컨대 척추신경관의 넓이나 후관절의 모양, 척추를 지탱하는 인대의 탄성 등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요인이 불리한 형태로 유전될 경우, 디스크가 반복적인 압력을 견디기 어려운 신체 구조를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유전은 질환의 ‘환경’을 만들어주는 요인이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허리디스크의 유전적 취약성은 외부 요인과 결합할 때 실제 질병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선천적으로 근육량이 적거나 인대가 약한 사람은 허리를 지탱하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장시간 앉거나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습관이 누적되면 디스크에 큰 부담이 쌓이게 된다. 반대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은 하중이 척추로 집중되어 역시 디스크 손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런 점에서 선천적인 체질과 후천적인 생활습관은 서로 맞물려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

척추 전문의들에 따르면, 허리디스크를 포함한 척추 질환에서 체형 또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선천적으로 마른 사람은 근육량이 적어 척추가 충격을 직접 받기 쉽고, 비만한 경우는 과도한 체중으로 인해 디스크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진다. 따라서 자신이 어떤 체질에 속하는지 파악하고 이에 맞는 운동 및 체중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부모나 형제 중에 척추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이러한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은 예방적인 생활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

생활습관적인 관리가 병의 발병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허리디스크가 생기기 쉬운 체질을 가지고 있더라도,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면 발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의자에 앉을 때 허리를 곧게 펴고,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에는 1시간마다 일어나 최소 10분 정도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다. 또한 땅바닥에 앉는 습관은 피하고,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실내 생활이 긴 사람일수록 허리 근육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매일 일정 시간 야외에서 걷거나 스트레칭을 통해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해야 한다.

허리디스크 예방을 위해 중요한 또 다른 요소는 일상 중의 작은 습관 변화이다. 예를 들어,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을 이용해야 하며, 항상 몸의 중심을 잡고 움직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또한 수면 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몸의 곡선을 지탱해주는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일상적 관리가 유전적 취약성을 극복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결국 허리디스크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는 복합 질환으로 이해해야 한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체질적 요소만으로 병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관리 부족이 그 약점을 병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체질을 인식하고 생활태도를 조정하는 노력이야말로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다. 유전적 소인이 있더라도 올바른 자세, 꾸준한 스트레칭, 적정 체중 유지 등을 통해 건강한 척추를 유지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허리디스크는 유전될 수 있는 ‘체질적 취약성’을 지닌 질환이다. 척추의 구조적 특징, 디스크의 강도, 근육의 발달 정도 등은 가족 간에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병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유전적 소인을 알고 생활습관을 올바르게 유지한다면 충분히 건강한 허리를 지킬 수 있다. 결국 척추 건강은 ‘타고나는 것’과 ‘관리하는 것’의 균형 속에서 지켜지는 것이다.

  1. https://blog.naver.com/strongspine/221674879972
  2.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63971
  3.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4110802192
  4. https://healtho.co.kr/news/view.php?idx=139746
  5.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578
  6. https://blog.naver.com/ckscks3521/223206100538
  7. https://www.mk.co.kr/news/it/10574006
  8. https://www.youtube.com/watch?v=qE5q-DWhY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