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제철 과일
10월은 가을이 한창인 시기로 한국에서는 다양한 과일이 본격적으로 제철을 맞는다. 이 시기 수확되는 과일들은 영양소 함량이 높고 맛과 향이 가장 뛰어나 풍성한 가을 식탁을 완성한다. 가을 제철 과일의 매력은 무엇보다 계절의 에너지가 담겨 있다는 데 있다.
사과는 10월 대표 제철 과일로 단단하면서 아삭아삭한 식감을 지니고 있다. 맛은 새콤달콤하고 향기도 달콤하다. 주로 빨간색 홍로, 부사와 녹색 아오리 품종이 많이 유통된다. 사과의 껍질에는 쿼세틴 성분이 풍부해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사과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C, 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된다. 신선한 사과는 껍질째 먹는 것이 영양소 섭취에 더 효과적이다. 신선도와 식감 유지를 위해서는 냉장고에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배는 아삭한 식감과 풍부한 당도로 특히 인기가 높다. 수분이 많아 갈증 해소와 함께 숙취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배는 진해작용이 뛰어나 기침이나 목 건강 등 가을철 잦은 호흡기 증상 완화에 좋다. 배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C, 칼륨이 풍부해 만성 질환 예방과 피부 건강 증진에 작용한다. 쉽게 즙을 내거나 샐러드, 조림, 또는 디저트에도 활용 가능하다. 배 역시 껍질에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깨끗하게 씻어 껍질째 섭취하면 좋다.
감은 10월에 가장 맛있게 익는 대표적인 가을 과일이다. 감에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A와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대사는 노화 방지와 변비 해소, 시력 보호, 면역력 강화 등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감은 떫은 맛을 줄이기 위해 일정 기간 치대거나 숙성시켜 먹는 경우가 많으며, 홍시로 먹으면 부드럽고 달콤한 디저트로 변신한다. 말린 곶감 형태도 많이 소비된다. 건조시켜 먹으면 당도가 높아지며 풍미가 진해져, 간식이나 요리 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포도는 9월과 10월에 가장 풍성하게 수확된다. 거봉, 캠벨, 샤인머스캣 등 국내 다양한 품종이 인기다. 포도는 폴리페놀, 레스베라트롤 같은 강력한 항산화 성분을 대량 함유하고 있다. 이 성분들은 심장 건강, 혈압 조절, 노화 방지, 콜레스테롤 관리 등에 좋다. 껍질째 섭취하면 영양소 흡수가 더욱 높아진다. 포도는 신선하게 먹거나 주스, 잼, 와인, 디저트 등으로 두루 활용된다. 포도 껍질에는 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무화과는 부드럽고 독특한 향이 특징인 가을 과일이다. 무화과에는 식이섬유, 칼륨, 칼슘이 풍부하다.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며 혈압 조절, 뼈 건강에도 좋다. 무화과는 껍질이 얇아 쉽게 상하기 때문에 신선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냉장 보관하면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무화과는 생으로 먹거나 잼, 샐러드, 요리에 토핑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능하다.
대추는 9월과 10월이 제철로, 달콤한 맛과 아삭한 식감을 자랑한다. 대추에는 비타민 C, 철분, 칼륨이 다량 들어있어 피로 회복 및 면역력 강화에 좋다. 한방에서는 한약재와 차 재료, 음식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쓰이며, 말려서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신선할 때 먹는 사과대추는 아삭아삭하고 단맛이 강하다. 건조 대추는 기호에 따라 삶거나 차로 우려내어 마시면 건강에 이로우며, 요리에도 다양하게 쓰인다.
석류는 10월에 깊은 붉은빛을 띠면서 맛과 영양이 완성된다. 석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엘라그산, 비타민 C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특히 여성 건강에 특화된 효능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석류 알갱이는 샐러드, 요거트, 디저트 등에 톡톡 튀는 식감으로 활용하면 좋다. 신선한 석류는 겉껍질에 광택이 있고 단단해야 한다. 보관 시에는 껍질째 서늘한 곳이나 냉장 보관이 적합하다.
밤 역시 10월에 접할 수 있는 계절 과실로, 달콤한 맛과 단단한 식감이 특징이다. 밤에는 비타민 C, 칼륨, 식이섬유, 마그네슘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다. 삶거나 쪄서 간단히 간식으로 먹을 수 있다. 밤은 송편, 전, 밥, 찹쌀떡 등에 넣어 각종 가을 음식의 식재료로 널리 쓰인다. 삶은 밤을 으깨어 샐러드나 디저트로 만들어도 좋다. 껍질이 단단해 신선도를 잘 유지할 수 있으나, 구입 후에는 서늘한 곳에 두고 가급적 빨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귤은 본격 제철이 11월부터이지만, 일부 남쪽 지방에서는 10월부터 초겨울까지도 맛볼 수 있다. 작은 크기의 조생귤은 알이 단단하고 산미와 단맛의 균형이 뛰어나다. 비타민 C가 풍부해 환절기 감기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당도가 높은 제철 귤은 껍질이 얇고 진한 주황색을 띤다. 귤 껍질에는 헤스페리딘과 같은 기능 성분이 들어 있어 말려서 차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토종 다래, 바나나플럼, 싸리매, 피마자 등 지역마다 접할 수 있는 특색 있는 과일들도 10월에 제철을 맞는다. 다래는 면역력 증진과 피로회복, 혈당조절 등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제공한다. 지역 농가에서 만나는 작고 독특한 과일들은 10월의 다채로운 풍미를 완성하는 좋은 선택지가 된다.
제철 과일을 가장 맛있고 건강하게 즐기려면 신선도와 당도를 확인하고 보관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과일은 바로 먹는 것이 신선도에 좋다. 필요한 경우, 냉장 보관하거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사과와 같이 에틸렌 가스를 배출하는 과일은 타 과일과 분리해 보관하면 변질을 늦출 수 있다. 떫은 감처럼 숙성이 필요한 과일은 신문지에 싸서 따뜻한 곳에 두면 숙성이 잘된다.
식생활에서 제철 과일을 자주 섭취하면 부족해지기 쉬운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 항산화 물질을 보충할 수 있다. 신선한 제철 과일은 건강에 이롭고, 계절의 맛과 정취를 한껏 즐길 수 있게 해 준다. 매일 한두 가지씩 다양한 과일을 골고루 섭취하면 영양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요즘은 제철 과일을 활용한 다양한 레시피도 인기를 끈다. 사과는 그대로 먹는 것 외에도 샐러드, 파이, 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한다. 배는 조림이나 무침, 디저트로도 좋으며 주스로 갈아 마셔도 상큼함이 좋다. 감은 홍시로 만들어 냉동 아이스크림처럼 즐길 수 있고, 곶감은 떡이나 빵, 건강식으로 쓰인다. 포도는 신선하게 먹거나 건포도, 와인, 젤리 등 가공품으로도 사랑받는다. 무화과와 대추는 샐러드나 오트밀, 육류 요리에 곁들여 색다른 맛을 낸다.
가을 제철 과일은 건강을 지키는 최고의 자연 간식이다. 면역력이 약해지기 쉬운 환절기, 규칙적인 과일 섭취로 몸의 기초 체력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 한 번에 많은 양을 먹기보다는 매일 꾸준히, 다양한 과일을 교차해 먹는 것이 좋다. 10월 제철 과일로 가을의 풍요와 건강을 한껏 누려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https://dailyfood.oopy.io/115ddde3-24c1-818d-ab85-f309b5907a12
- https://v.daum.net/v/UV3e1GWA1w
- https://space-forlife.com/7
- https://www.instagram.com/p/DPNPkUPkkNV/
- https://gomagglee.tistory.com/entry/10%EC%9B%94-%EB%8C%80%ED%91%9C-%EC%A0%9C%EC%B2%A0-%EC%9D%8C%EC%8B%9D-BEST-15
- https://workinglifetip.tistory.com/59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10010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