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미를 줄여주는 가장 효과적인 음악
운전이나 배, 비행기 등에서 멀미를 겪는 사람들은 이동 전에 불안과 긴장감을 느끼기 쉽다. 이러한 긴장감이 신체 반응을 촉발하는 원인이 되어 멀미 증상이 더 빨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멀미를 줄이기 위한 자연스러운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음악 감상이다.
중국 헤난 과학기술연구원, 충칭 예술과학대, 충칭 육군의과대, 충칭 서남대 공동 연구팀은 멀미와 음악의 관련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운전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참가자에게 인위적으로 멀미를 유발한 뒤,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들려주며 회복 속도를 측정했다.
이 실험에는 총 30~40명의 성인 남녀가 참여했다. 음악 유형별로 ▲즐거운 음악 ▲감미로운(부드러운) 음악 ▲열정적인 음악 ▲슬픈 음악 ▲음악을 듣지 않는 자연 회복 등 다섯 가지 조건이 적용되었다.
음악을 듣는 동안 참가자의 멀미 정도는 뇌파(EEG) 측정 장치와 머신러닝 분석 기법을 이용해 데이터화했다. 또한 실험 도중 멀미 증상에 대한 직접적인 구두 보고도 함께 수집되어 정확도를 높였다.
실험 결과, 즐거운 음악을 들은 그룹에서는 멀미 증상이 평균 57.3% 감소했다. 감미로운 음악 그룹에서도 56.7%의 감소 효과가 나타나 거의 비슷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정적인 음악은 그보다 다소 낮은 48.3%의 완화 효과를 보였다. 반면 슬픈 음악은 멀미 완화율이 40%에 불과해 오히려 아무 음악도 듣지 않은 자연 회복 그룹(43.3%)보다도 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즐거운 음악의 경우 대표적으로 밝고 빠른 리듬, 긍정적인 정서가 유도되는 팝·댄스·경쾌한 클래식 등이다. 감미로운 음악은 부드러운 선율, 이완을 유도하는 발라드, 피아노 솔로, 소프트 재즈 등으로 구성된다.
열정적인 음악은 강한 비트와 에너제틱한 느낌의 록, 메탈, 일렉트로닉 계열이다. 슬픈 음악은 감정적으로 우울하거나 가라앉는 분위기의 곡들로 이루어진다.
연구팀은 각 음악 유형의 결과를 해석하며, 부드러운 음악은 자율신경계를 조절해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완화한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정서를 유지하거나 긴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었다.
즐거운 음악은 뇌의 보상 체계를 활성화해 주의를 멀미 외의 대상으로 분산시킨다. 이는 멀미로 인한 불편함을 잠시 잊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실험에서 뇌파 신호를 분석하면 멀미가 심해질 때 후두엽의 뇌파 복잡성이 크게 줄어든다. 반대로 멀미가 완화되면 뇌파 활동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현상이 측정되었다.
슬픈 음악을 들었던 그룹은 오히려 멀미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네거티브 정서가 강화되면서 주관적 불편감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이 직접 보고한 심리적 상태도 뇌파 측정 결과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즐거운 음악과 감미로운 음악을 들었을 때는 심리적 회복 속도도 빠르게 나타났다.
심지어 약물 치료나 민간요법(예: 생강 섭취 등)과 비교할 때, 특정 종류의 음악 감상이 비침습적이고 부작용이 없어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음악의 선택이 개인 맞춤형으로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음악을 통한 멀미 완화 효과는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항공기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서 적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교통 환경과 개인 취향을 반영한 더욱 정밀한 실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의 한계로 표본 수 제한과 실험실 환경의 인위성을 들었다. 실생활에서의 후속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멀미 극복을 위한 신개념 접근법을 보여준다. 각 음악의 효과 정도와 뇌 반응 변화까지 과학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성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시간 차량 이동이나 명절 등 대이동 시즌에 많은 사람이 멀미로 고생하는 현실을 고려하면, 음악 감상을 통한 멀미 완화법은 매우 실용적인 대안이 된다. 실제로 즐거운 음악과 부드러운 음악을 활용하면 멀미 증상을 절반 이상 경감할 수 있다.
슬픈 음악은 멀미 증상을 거의 줄여주지 않거나,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선택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위해서는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 또는 평안함과 이완감을 주는 곡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에선 음악을 아예 듣지 않은 대조군에서 43.3%의 자연 회복이 나타났지만, 음악이 잘 활용된 그룹에서는 56~57%까지 회복률이 올라간다. 이는 음악이 멀미 증상 완화에 분명한 기여를 한다는 뜻이다.
실제 참여자들은 즐거운 음악을 들을 때 머리가 맑아지고 속이 덜 울렁거린다고 보고했다. 반면 슬픈 음악을 감상하면 부정적인 감정에 더 몰입되어 메스꺼움과 어지럼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고 밝혔다.
선곡 팁으로는 본인의 취향을 고려하되, 가능한 한 밝고 긍정적인 음악, 혹은 평화롭고 고요한 음악을 우선 선택하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자신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도움이 되었던 음악 장르가 멀미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는 것이 좋다.
멀미 증상에 따라 음악의 템포와 분위기를 조절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증상이 아주 심할 땐 이완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곡을, 비교적 가벼울 땐 경쾌한 즐거운 곡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부득이하게 음악을 듣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휴식이 그 다음으로 회복 효과가 높은 방법임이 실험 결과로 확인되었다. 짧게라도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멀미 회복에 도움이 된다.
음악 감상을 위한 환경도 중요하다. 소음이나 진동이 심한 이동 수단에서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활용해 자신만의 음악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멀미 완화에 적합하다.
특정 멀미 예방약과 병행해서 사용할 때 음악 감상은 약물의 졸음 등 부작용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약물 복용 여부와 개별 건강 상태는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멀미 예방 및 치료 방법으로 음악이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중교통이나 여행 업계에서도 맞춤형 멀미 완화 음악 서비스가 제공될 가능성이 있다.
멀미에 취약한 아이들이나 노약자에게도 밝고 부드러운 음악은 스트레스 경감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는 어린이 대상 뇌파 실험에서도 일정 수준의 일치된 결과로 재확인된 바 있다.
멀미로 인해 여행 즐거움이 반감되는 경우, 음악 감상을 생활 속 습관으로 삼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특히 차량 이동 전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멀미에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음악 심리학 분야에서는 앞으로도 멀미 외에 다양한 신체 증상 완화에 음악을 활용할 방법을 꾸준히 연구할 전망이다. 멀미와 음악의 관계는 아직도 여러 미지의 영역이 남아 있어 추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멀미 완화를 위한 음악 감상은 준비물 없이 누구나 쉽게 시도할 수 있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몸과 마음 모두 편안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5090403896
- https://kormedi.com/2745762/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50903/132312276/1
- https://news.nate.com/view/20250904n40248
- https://v.daum.net/v/20250903182425053
- https://www.seoul.co.kr/news/plan/science-story-yyh/2025/09/04/20250904024001